2025/04/08 2

경주 안계리 석조석가여래좌상

불상은 머리 부분이 깨어져 있고, 두발은 나선형 머리카락으로 표현되어 있다. 얼굴은 양 옆이 납작하고 통통하며, 눈썹 사이에는 백호(白毫) 구멍이 남아 있고 눈 • 코 • 입 부분은 마모가 심하다. 목에는 삼도(三道)를 표현하고 어깨는 당당하게, 가슴은 풍만하게, 허리는 잘룩하게 표현하여 크고 넓은 무릎과 잘 어울리게 하였다. 옷은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있으며, 왼손은 손바닥이 위로 오도록 하여 무릎에 얹고 오른손은 땅으로 내린 형태를 취하고 있다.대좌의 하대석에는 1면에 2개씩의 안상이 있으며, 특히 상대석에는 3중으로 연꽃이 조각되어 있다. 1999년 이 절터에서 안계사(安溪寺)라는 글씨가 새겨진 기와가 발견된 데 이어 2002년과 2003년에 걸친 2차례의 발굴 조사 후 불상 대좌 중에 중대석을 ..

카테고리 없음 2025.04.08

경주 내남 충의당&충의공원

경주 충의당& 충의공원​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에 있는 조선후기 무신 잠와 최진립 관련 주택. 시도민속문화재.1993년 경상북도 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조선 중기의 무신 잠와(潛窩)최진립(崔震立)의 생가로, 충의당은 사랑채의 당호(堂號)이다. 우측으로 난 대문채를 들어서면 우측에는 사당(祠堂)이 있으며, 정면 좌측에는 충의당과 경모각이 나란히 자리잡고 있다.충의당 뒤로는 흠흠당·고방채·정침이 안마당을 사이에 두고 각각 자리잡아 전체적으로는 튼 口자형의 배치형태를 취하고 있다. 충의당은 정면 4칸, 측면 2칸 규모인데 좌측 2칸은 전면에 퇴칸을 둔 온돌방으로 꾸미고, 우측 2칸은 우물마루를 깔았다.가구는 3량가의 간결한 구조인데 대청 상부의 대량(大樑) 위에는 원형판대공(圓形板臺工)을 세웠다. 정침은 정면..

카테고리 없음 2025.04.08